 |


플랜 B 마이너 리포터 021 논을 빌리다. |
조회 3,385 |
추천 22 |
비추천 0 |
점수 60 |
2011-01-09 08:07 |
|
|

안녕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
새해가 밝아 왔습니다. 작년에 귀농하여 보낸 시간이 꿈결 같습니다.
오늘은 논 임대에 대해서 말씀을 드려 볼까 합니다.
처음 이곳에 내려와서
적응이 어려웠던 것 중 하나가
바로 농지단가 계산법이었습니다.
도시에서는 평당 얼마로 계산이 된다면
여기서는 마지기당 얼마 혹은 쌀 몇 말로 계산하고 계셨습니다.
일단 마지기라는 말이 생소했고
쌀 몇 말이 도대체 얼마인지 어느 쌀 가격을 기준으로 하는 건지도 햇갈렸습니다.
일단 마지기는 200 평이라는 걸 한 달이 지나서야 간신히 이해했습니다.
이 마지기당 임대료는 논의 상태에 따라서 쌀 한 가마에서 닷말 까지 나뉘고 있었습니다.
농지 정리가 잘 되어있어 농사 짓기 편하고 수확량이 많은 곳은 쌀이 한 가마에서 한 가마 반 정도였고
농지 정리가 안 된 곳은 닷말에도 거래가 되었습니다.
쌀 한가마는 80kg 이고 한 가마가 열 말 이었습니다.
닷 말이면 쌀이 반가마 입니다.
이 계산법을 이해하는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.
임대료는 - 현지인의 경우 - 추수 후 받는 걸로 관습법화 되어 있었습니다.
후불제인 이유는 논 농사가 남는게 없다는 것과
일단 쌀이 생산되서 팔아야 주머니에 돈이 있는 사정을
서로간에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인 것 같았습니다.
200평당 얼마로 계산을 하지 왜 쌀고 계산하시나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
지내다 보니 참 합리적인 계산과 가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쌀 가격이 풍흉년에 따라 오르 내리는데 돈으로 계산하면 서로간에 손해가 아닌가 하는
마음이 있을 수도 있는데 쌀 - 혹은 추수 때 쌀 가격으로 계산을 해주면 서로 편한게 아닌가 하고
추측하고 있습니다.
또는 그냥 쌀로 받아 양식으로 삼을 수도 있는 것이고요.
그럼 논 임대가 여기서 끝나느냐
임대료 협상이 끝나면 다음으로
직불금 문제로 넘어갑니다.
직불금은 정부에서 직접 논 농사를 짓는 사람에게 주는 보조금입니다.
직불금을 주는 이유는 논 농사가 수지 타산이 앉맞기 때문입니다.
이 직불금은 과거 몇 몇 정치인들이 장난을 치는 바람에
공개석상에서 이야기 하기가 좀 곤란한 실정입니다.
그래서 점프 하겠습니다.
논 농사 수지 타산에 대해서는 아래 표를 보시고 될 것 같습니다.
아래 표는 마을 이장님의 조언으로 제가 나름대로 작성해 본 것입니다.
글을 올리고 보니 표가 밀려수정을 하려는 데 잘 못하겠습니다.
죄송합니다.
논 농사 현황표 |
|
|
|
|
|
|
항목 |
단가 |
개수 |
총액 |
비고 |
|
|
종자 |
60,000 |
10 |
600,000 |
40Kg |
|
|
스포타 |
15,000 |
3(박스) |
45,000 |
종자소독용 |
|
자바라 |
10,000 |
15 |
150,000 |
종자소독용 |
|
살충제 |
40,000 |
1 |
40,000 |
종자소독용 |
|
육묘상자 |
1,000 |
1,130 |
1,130,000 |
모판육묘상자 |
200평에 22개 |
상토흙 |
2,500 |
81 |
202,500 |
20Kg |
한포에 육묘상자 14개 |
부직포 |
120,000 |
1 |
120,000 |
모판용 |
|
|
로타리 |
50,000 |
52 |
2,600,000 |
200평당(2-3회) |
풀 적은 곳 2회 많은 곳 3회 |
이양기 |
30,000 |
52 |
1,560,000 |
200평당 |
|
|
양수기 |
60,000 |
|
60,000 |
전기요금으로계산 |
|
콤바인 |
45,000 |
52 |
2,340,000 |
200평당 |
|
|
농약 |
40,000 |
52 |
2,080,000 |
200평당 |
|
|
|
|
|
|
|
|
|
퇴비 |
2,100 |
624 |
1,310,400 |
200평에 12포 살포 |
농장퇴비 |
화학비료 |
13,000 |
78 |
1,014,000 |
200평에 1포 반 살포 |
|
|
|
|
|
|
|
|
벼포대 |
300 |
412 |
123,600 |
40Kg자루 |
|
|
벼포대 |
8,500 |
20 |
170,000 |
800Kg자루 |
|
|
|
|
|
|
|
|
|
중기제초제 |
100,000 |
|
100,000 |
제초제 살포이후 상황에 따라 |
물소독 |
100,000 |
2 |
200,000 |
8월 초 중순 병충해 상황에 따라 |
건조비 |
20,000 |
52 |
1,040,000 |
200평당 평균 |
|
간식,식대 |
150,000 |
|
150,000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총계 |
|
|
13,860,500 |
화학비료, 톤백 뺀금액 |
|
|
|
|
13,610,500 |
퇴비 40키로 자루 뺀 금액 |
|
|
|
|
|
|
| 총 계가 두개인 것은 화학비료와 퇴비가 같이 잡혀 있고
또 쌀 자루도 40키로 짜리와 800키로 짜리가 같이 잡혀 있어서 그렇습니다.
둘 중 하나만 총계로 보시면될 것 같습니다.
트랙터 이양기 콤바인 비용은 기계를 사지 않고 빌려서 쓸 경우입니다.
살 경우 대당 가격이 몇 천에서 억 가까이 갑니다.
여기에 첨가가 안 된 것이 임대료와 인건비입니다.
임대료는 이곳 최저인 닷 말로 잡아보겠습니다.
이곳 쌀 가격은 한가마에 15만원으로 계산하고 있었습니다.
다시 말해서 200평에 7만 5천원이 임대료입니다.
따라서 만평에 임대료가 3,750,000입니다.
한 가마면 7,500,000원입니다.
이 땅에서 나오는 평균 수확량과 수입은 아래와 같습니다.
예상수입량 |
|
|
|
|
|
관행재배 |
200평당 |
마지기 |
벼 기준 |
|
|
|
|
390 |
50 |
19,500 |
Kg |
40키로 487가마 |
|
|
|
|
|
|
| 관행재배는 농약과 화학비료를 쓰는 농사를 말합니다.
벼 기준은 백미가 아니라 볍씨 상태를 말합니다.
수확량은 제가 임대한 논의 평균 수확량입니다.
농사가 잘 되면 이것 보다 더 많이 나올 수도 있고
안 되면 반 건지기도 힘들기도 하다고 합니다.
실제로 비바람에 쓰러져 수확을 포기 한 논도 보았습니다.
이 볍씨 상태로 추곡 수매를 하는데 수매가가 올해 45,000원입니다.
금액으로는 21,950,000원 입니다.
만평을 지어야 매출이 이천 이백만원 정도인 것입니다.
비용은 천 칠백에서 이천만원을 약간 웃 도는 정도
여기에 인건비는 전혀 계산하지 않았습니다.
그래서 자기 논을 가지고도 농사 짓기 힘들고 돈은 안 되고 해서
이렇게 휴경을 하시는 분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.


논이 었던 땅이 딱 일년 만에 이렇게 변했습니다.
제법 좋은 논이라며 싸게 일곱말에 임대를 했는데
처음에는 긴가 민가 했는데
주위에서 다들 논은 괞챦은 곳이고
일년 휴경을 했으니 농사를 잘 될거라고 하시더군요
일단 잡초와 잡목 사이의 풀들을 정리하고
불을 붙였습니다.

잡풀들을 모아 불태우고 있습니다.
마을 어르신들이 그걸 보시고
요즘은 논 두렁에 불 태우는 것도 면사무소에 신고를 해야 한답니다.
화재 예방을 위해서라고 합니다.
그리고 봄이면 마을에서 이장님이 면사무소에 이야기 하면
산불감시인이 온다고 합니다.
그때 다 같이 불붙이니까 지금은 잘라서 모아 놓기만 하라고 조언을 해주셨습니다.
---

눈 덮인 보리 밭

싹이 하나 예쁘게 솟아 있습니다.

보리 주위의 땅은 아직 얼지 않았습니다.
이 보리가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힘차게 자라 올라 희망이 되기를 기원해 봅니다.
--
제가 어디서 귀농을 했는지 물으시는 분들이 계셔서
쑥스러움을 참고 말씀드리겠습니다.
현재 저는 충주 북부 남한강의 한 지류에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.
관심 감사드립니다.
|
|
|
 |
|
 |
 |
|
 |